[re] 볼트의 소성체결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볼트의 표면처리방식에 따라서 소성체결시 축력 변화등으로 인해 볼트 피로강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현재 흑색산화피막 볼트(M6xP1.0xL150-나사부 길이는 약20mm)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아시다 시피 산화피막의 내식성이 약해 니켈아연도금으로 변경을 해야합니다. 피막에서 니켈아연도금으로 변경시 볼트 좌면과 나사부의 마찰계수 변화로 인해 운전시 볼트의 피로강도에 대한 여유값과 운전후 축력저하에대한 씰링필요 여유 축력값이 거의 없다고 들었습니다.
>소성체결시 안전한 토크값을 알수 있을까요?
>그리고 볼트 헤드부에 대한 부분적인 흑색도금이 가능할까요? ^^;;;
>내식성과 기능성을 다 같이 잡기가 어렵네요.
>그럼 수고하십시오...
저희 영풍볼트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나사의 적용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제가 이해 하고 있는 것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소성체결방식을 사용하신다고하니 반갑습니다. 소성체결방식은 볼트의 축력을 균일하게 조일 수 있는 가장 최신 공법으로서 볼트의 품질이 뒷받침 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첨단 공법입니다.
볼트의 소성역은 같은 강도 등급의 볼트일지라도 조임각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된 제품에 대해 축력시험기를 통해 축력과 조임각도의 그래프를 그려 정확한 값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제품의 생산 로트별 산포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소성체결시에는 모재의 가공조건이나 소재, 형상 등이 바뀌면 필히 축력시험을 다시하여 조임각도 산출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볼트의 표면처리나 열처리 조건이 바뀌어도 마찬가지로 축력시험을 다시하여 조임각도 산출을 하여야 합니다.
계산에 의한 산출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바뀐 표면처리 조건으로 생산된 볼트를 축력시험하여 조임각도를 다시 산출하여야 하며, 피로 강도가 요구수준 이상인지 피로시험을 통해 확인하여야 합니다.
볼트머리만 도금을 달리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자칫 공정상의 실수로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비용도 많이 상승되게 될 것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표면처리가 달라져도 조여지는 각도가 바뀔뿐 조임력에는 차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머리만 도금을 변경하는 것은 고려치 않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도금이 바뀐 제품으로 축력시험을 하여 조임각도를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저희 홈페이지의 "기술자료실>볼트>나사조임방법 예시" 편을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볼트의 표면처리방식에 따라서 소성체결시 축력 변화등으로 인해 볼트 피로강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현재 흑색산화피막 볼트(M6xP1.0xL150-나사부 길이는 약20mm)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아시다 시피 산화피막의 내식성이 약해 니켈아연도금으로 변경을 해야합니다. 피막에서 니켈아연도금으로 변경시 볼트 좌면과 나사부의 마찰계수 변화로 인해 운전시 볼트의 피로강도에 대한 여유값과 운전후 축력저하에대한 씰링필요 여유 축력값이 거의 없다고 들었습니다.
>소성체결시 안전한 토크값을 알수 있을까요?
>그리고 볼트 헤드부에 대한 부분적인 흑색도금이 가능할까요? ^^;;;
>내식성과 기능성을 다 같이 잡기가 어렵네요.
>그럼 수고하십시오...
저희 영풍볼트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나사의 적용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제가 이해 하고 있는 것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소성체결방식을 사용하신다고하니 반갑습니다. 소성체결방식은 볼트의 축력을 균일하게 조일 수 있는 가장 최신 공법으로서 볼트의 품질이 뒷받침 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첨단 공법입니다.
볼트의 소성역은 같은 강도 등급의 볼트일지라도 조임각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된 제품에 대해 축력시험기를 통해 축력과 조임각도의 그래프를 그려 정확한 값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제품의 생산 로트별 산포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소성체결시에는 모재의 가공조건이나 소재, 형상 등이 바뀌면 필히 축력시험을 다시하여 조임각도 산출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볼트의 표면처리나 열처리 조건이 바뀌어도 마찬가지로 축력시험을 다시하여 조임각도 산출을 하여야 합니다.
계산에 의한 산출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바뀐 표면처리 조건으로 생산된 볼트를 축력시험하여 조임각도를 다시 산출하여야 하며, 피로 강도가 요구수준 이상인지 피로시험을 통해 확인하여야 합니다.
볼트머리만 도금을 달리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자칫 공정상의 실수로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비용도 많이 상승되게 될 것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표면처리가 달라져도 조여지는 각도가 바뀔뿐 조임력에는 차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머리만 도금을 변경하는 것은 고려치 않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도금이 바뀐 제품으로 축력시험을 하여 조임각도를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저희 홈페이지의 "기술자료실>볼트>나사조임방법 예시" 편을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볼트의 소성체결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05.03.05
- 다음글토크쉐어볼트 04.12.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